컨텐츠 내용
수강후기
- 수강신청
- 수강후기
1학년 2학기 사회 이해 다이어리 |
8강 |
별점5 작성자차*빈 작성일2024.12.02 조회수11,624 |
1. 역사 속에 나타난 민주주의는? (1) 고대 아테네의 민주 정치 1) 직접 민주 정치: 시민들이 민회에 모여 나라의 중요한 일을 직접 결정 2) 추첨제: 추첨으로 돌아가며 공직을 당담함 3) 제한적 민주 정치: 시민의 자격은 성인 남성에게만 주어지고 여성,노예, 외국인은 시민으로 인정되지 않음
(2) 근대의 민주 정치 1) 시민 혁명: 지민이 왕과 특권 귀족에 저항하여 자유와 권리를 보장받음 ex) 대표적인 사례: 영국 명예 혁명 (1688년), 미국 독립 혁명 (1776년), 프랑스 혁명 (1789년)
2) 대의 민주 정치(= 간접 민주 정치): 선거로 대표를 선출하여 국가의 의사결정에 참여
3) 제한적 민주 정치: 재산을 가진 남성만 정치에 참여하고 여자, 노동자, 농민들은 제외됨
(3) 현대의 민주 정치 1) 참정권 확대 과정 [1] 차티스트 운동: 19세기 중반 이후 노동자에게 선거권 부여 [2] 여성 참정권 운동: 20세기 초부터 여성에게 선거권 부여
2) 보통선거 제도: 성별, 재산 등에 제한 없이 일정한 나이 이상의 모든 국민에게 선거권 부여
3) 대의 민주 정치 보완: 참여 민주주의, 전자 민주주의 등장
2. 민주주의의 이념과 민주 정치의 기본 원리는 무엇일까? (1) 민주주의의 이념 인간의 존엄성: 인간은 인간이라서 사실 그 자체만으로도 존중받아야 한다는 것 자유: 다인이나 국가 권력의 부당한 간섭을 받지 않고 자신의 의사대로 행동하는 것 평등: 성별, 인종, 재산 등에 의하여 부당하게 차별받지 않고 동등한 인격체로 대우받는 것
(2) 민주 정치의 기본 원리 국민 주권의 원리: 국가의 의사를 결정하는 최고 권력인 주권은 국민에게 있다는 것
국민 자치의 원리: 국민이 국가를 스스로 다스려야 한다는 것
입헌주의의 원리: 헌법에 따라 나라를 다스려야 한다는 것
권력 분립의 원리: 국가의 권력을 분산하여 권력 남용을 막아야 한다는 것
느낀점: 민주주의의 이념에 대해 살펴볼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학교 수업에서는 자세히 알려 주지 않은 부분을 강의로 보충할 수 있어서 좋은 것 같습니다. 평소 어려웠던 부분들이 잘 이해가 되었습니다.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