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내용

수강후기

  1. 수강신청
  2. 수강후기
수강후기 조회 페이지
1학년 2학기 기초탄탄 심화쏙쏙 살아있는 지구과학
3강
별점5 작성자차*빈 작성일2024.12.08 조회수10,707

1. 광물 

• 광물: 암석을 이루는 각의 작은 알맹이로,

자연 상태에서 만들어지는 균일한 결정질 고체를 의미한다.

•광물과 암석: 광물은 고유의 화학 구조로 갖는

물질로 암석을 이루는 각각의 작은 알갱이이고,

암석은 이러한 광물이 모인 집합체이다.

(예: 석영, 장석,흑운모는 광물이고,

  이들이 모인 화강암은 암석이다.)

• 조암 광물: 암석을 이루는 주된 광물을 의미하며,

석영,장석,흑운모,각섬석,휘석,감람석 등이 있다.

- 조암 광물의 부피비: 지각을 이루는

조암 광물 중 장석이 가장 많은 부피를 차지한다.

 

2. 광물의 특성

•색(겉보기 색)

- 눈에 보이는 광물의 색을 겉보기 색이라고 하며,

가장 쉽게 광물을 구별할 수 있는 특성이다.

- 같은 광물이라도 약간의

성분 차이로 색이 달라질 수 있고,

겉보기 세기 비슷하여 구별되지 않을 수 있다.

 

•조흔색

- 조흔색은 광물을 조흔판에 긁었을 때

    나타나는 광물 가루의 색이다.

- 흑운모,적철석,자철석은 모두 어두운 색으로

비슷해 보이지만, 조흔색은 각각 흰색, 적갈색,

검은색으로 다름으로 구별할 수 있다.

 

•굳기

- 광물의 무르고 단단한 정도로,

굳기가 다른 광물을 서로 긁으면 단단한

광물이 덜 단단한 광물에 흠집을 낸다.

- 방해석과 석영을 서로 긁으면 방해석이 긁혀 흠집이

생기는데 이는 석영이 방해석보다 단단하기 때문이다.

 

• 염산 반응

- 방해 석은 탄산칼슘으로 이루어진 광물로

묽은 염산과 반응하여 이산화탄소 기체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거품이 생긴다.

- 방해석이 많이 포함되어 있는 석회암이나

대리암에서도 염산 반응이 나타난다.

 

• 자성

- 광물이 철 가루나 클립 등의 쇠붙이를

끌어당기는 성질을 자성이라고 한다.

- 자철석에는 작은 쇠 조각을 가까이

가져갔을 때 끌어당기는 자성이 있다.

 

느낀점: 오늘의 탐구 길잡이가 

어려웠지만 신기해서 재미있었습니다. 

오늘도 다양한 문제를 풀어 보았습니다. 

노트에 오늘 배운 내용들을 정리해보았습니다. 

광물이 무엇인지 잘 몰랐었는데 강의를 듣고

정확한 의미를 알게되었습니다. 

좋은 강의 고맙습니다. 💙 

 

 

 

추천강의

생생 수강후기 뉴런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