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내용
수강후기
- 수강신청
- 수강후기
1학년 2학기 기초탄탄 심화쏙쏙 살아있는 지구과학 |
2강 |
별점5 작성자차*빈 작성일2024.12.08 조회수10,316 |
1. 암석 • 암석은 광물이 자연적으로 모여 이루어진 고체이며, 생성 원인 (과정)에 따라 화석암,퇴적암,변성암으로 나뉜다. -화성암: 땅속의 마그마 또는 분출된 용암이 굳어져 생성된 암석 -퇴적암: 퇴적물이 쌓인 후에 위층의 무게로 다져지고 굳어진 암석 -변성암: 암석이 높은 열과 압력을 받아 원래의 성질이나 조직이 변화한 암석
2. 암석의 순환 • 암석은 주변 환경에 따라 처음 만들어진 상태와는 다른 암석으로 변할 수 있다. 이러한 변화 과정을 암석의 순환이라고 한다. • 암석 순환의 과정: 암석은 열과 압력을 받으면 변성 작용이 일어나 변성암이 된다. 암석이 녹을 정도로 큰 열을 받으면 암석은 녹아서 마그마가 되고 이 마그마가 식어서 구두면 화성암이 된다. 또한 암석이 부서져 퇴적물이 된 것이 운반되어 쌓이고 굳어지면 퇴적암이 된다.
3. 화성암 • 마그마와 용암 - 마그마: 암석이 녹은 것을 마그마 하며, 지하 깊은 곳에서는 높은 온도로 인해 암석이 녹아 액체 상태가 될 수 있다. - 용암: 마그마가 화산활동 등을 통해 지표로 흘러나온 것
• 화성암의 분류: 화성암을 이루는 알갱이 (광물)의 크기와 암석의 색에 따라 분류한다.
• 암석을 이루는 알갱이(광물)의 크기에 따른 분류 - 화산암: 분출된 용암이나 지표 부근의 마그마가 빠르게 식어 구성 광물의 결정 크기가 작은 화성함 - 심성암: 마그마가 지하 깊은 곳에서 천천히 식어 구성 광물의 결정 크기가 큰 화성암
•암석의 색에 따른 분류 - 어두운색 화성암: 어두운색 광물을 많이 포함하여 어둡게 보이는 화성암 - 밝은색 화성암: 밝은색 광물을 많이 포함하여 밝게 보이는 화성암
4. 퇴적암 • 퇴적물: 원래의 암석이 풍화•침식 등에 의해 잘게 부서진 후 흐르는 물과 바람, 빙하 등을 따라 운반되어 바다나 호수 바닥에 쌓인
• 퇴적암의 생성 과정: 지표의 암석 - 잘게 부서짐 - 퇴적물- 다져지고 굳어짐- 퇴적암 [1] 퇴적물이 쌓인다. [2]퇴적물이 다져진다. [3]광물 성분이 퇴적물을 붙인다.
• 퇴적암의 종류: 퇴적암을 이루는 퇴적물의 종류와 구성 알갱이의 크기에 따라 퇴적암을 구분한다.
- 역암: 자갈로 만들어진 퇴적암으로 주로 육지와 가까운 곳에서 생성된다.
- 사암: 모래로 만들어진 퇴적암
- 셰일: 진흙으로 만들어진 퇴적암으로 주로 육지와 먼 곳에서 생성된다.
- 석회암: 산호나 조개껍데기처럼 석회 물질로 이루어진 생물의 유해가 쌓이거나 물에 녹아 있던 석회 물질이 가라앉자 만들어진 퇴적암
• 퇴적암의 특징: 퇴적암에는 층리와 화석이 나타나기도 한다. - 층리: 퇴적물이 쌓일 당시 주변 환경에 따라 퇴적물의 종류와 색, 두께 등이 달라져서 나타나는 평행한 줄무늬로 퇴적암에서만 관찰된다. - 화석: 과거에 살았던 생물의 유해나 흔적으로 화석을 통해 퇴적암의 생성 등을 알 수 있다.
5. 변성암 • 변성암의 종류 : 변성암은 원래의 암석이 열과 압력을 받은 정도와 변하기 전 암석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 변성암의 특징 - 엽리: 암석이 높은 압력을 받으면 광물 결정이 압력의 수직 방향으로 눌러 납작해지면서 평행하게 배열되는 줄무늬 구조가 나타난다. - 재결정 작용: 안석이 높은 열을 받아 기존의 광물이 다른 광물로 변하거나 광물 결정의 크기가 변하는 작용이 일어난다.
느낀점: 선생님의 수업 덕분에 암석을 분류할 수 있었습니다. 문제를 풀어볼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조금 더 깊이,심화 ! 쏙쏙 !! 재미있었습니다. 다양한 이야기들도 재밌게 볼 수 있었습니다. 학원을 다니지 않는 저는 강의로 공부를 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학원을 다니는 친구와 학원을 다니지 않는 저와 성적을 비교해 보았습니다. 그런데 제가 더 높았습니다. 선생님 께서 설명을 완벽하게 잘 해주셔서 이해를 할 수 있었습니다 . 앞으로도 열심히 공부하겠습니다.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