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5 박*현 2025.07.16
아빠곰 용쌤과 함께하는 생명과학 수강후기

아빠곰 용쌤 생명과학을 듣고 좀더 똑똑해진것같습니다. 아빠용쌤 감사합니다!

5 서*일 2025.07.16
아빠곰 용쌤과 함께하는 생명과학 잘 가르쳐 주셔서 감사해요
5 구*준 2025.07.10
아빠곰 용쌤과 함께하는 생명과학 선생님이 너무 좋았다
5 남*리 2025.07.04
아빠곰 용쌤과 함께하는 생명과학 아빠곰 용쌤

과학을 예습 또는 복습을 할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5 박*슬 2025.06.17
아빠곰 용쌤과 함께하는 생명과학 생명과학 강의를 듣고

솔직히 학교수업을 듣는 것보다 더 이해가 잘 되고 좋은 것 같아요!👍

2학기 수업은 없나요ㅠㅠㅠ 조용민 쌤이 한 강의 다음에도 꼭 듣고싶슴다!!

5 고*아 2025.04.24
아빠곰 용쌤과 함께하는 생명과학 예습인데도 너무 잘 이해되요.
5 김*람 2025.01.13
아빠곰 용쌤과 함께하는 생명과학 과학 자습하기 좋은 강의! (아빠곰 아빠곰...

오빠곰 철쌤과 아빠곰 용썜 두분 다 개념을 잘 설명해주셔서 과학 점수를 만족스럽게 받은것같습니다! 물론 제가 자습만 해서 과학 점수가 중간고사 94 기말고사90인게 좀 아쉽긴 하지만 그래도 만족합니다! 감사합니다~

5 차*빈 2024.11.22
아빠곰 용쌤과 함께하는 생명과학 8강

8강 대단원 마무리 2

 

<오늘의 생물 소개>

둥근 전복 Haliotis discus

동물계-연체동물문-복족강-원시복족목-전복과-전복속

 

전복은 북족강에 속해 있어서 몸 구조가

조개보다는 달팽이나 소라와 더 가깝다.

북족강은 연체동물문의 하위 분류로

배에 발이 달렸다는 뜻이다.

북족강에 속하는 생물로는

달팽이, 소라, 다슬기, 우렁이 등이 있다.

또한 보통 조개라고 불리는 종들은

껍데기가 두 장인데, 전복은

껍데기가 한 장 뿐이며 물 속에서

살아있는 전복의 활동을 보면 생김새와

움직임 자체가 달팽이와 가깝다.

조개에는 치설이 없지만 전복은

치설이 있어 요리할 때 제거해야

하는 점과 발이 크고 넓은 것이 북족강인

달팽이나 소라, 고둥과 유사하다.

 

 

느낀점: '오늘의 생물 소개' 에 있는 모든

생물들이 흥미로웠고, 재미있었습니다.

대단원 마무리로 복습할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노트에 중요한 내용들을 다 필기해보았습니다.

맨 마지막에 답지가 있어서 좋았습니다.

아빠곰 용쌤과 함께 공부할 수 있어서 좋은 것 같습니다.

과학에 흥미가 없었고 재미가 없었던 제가 선생님

덕분에 과학에 흥미가 생기고 재미도 생겼습니다.

선생님의 강의가 이해가 잘 되서 공부가 잘 되었습니다.

2학년때에도 아빠곰 용쌤의 강의를 듣고 싶습니다.

어떻게 해야 나만의 공부법을 찾을 수 있는지

선생님의 강의를 듣고 나서 찾게 되었습니다.

정말 정말 감사합니다.

좋은 강의 고맙습니다.

❤️‍🔥🧡💛💚💙💜💖

 

 

 

 

 

5 차*빈 2024.11.22
아빠곰 용쌤과 함께하는 생명과학 7강

7강 대단원 마무리 1

 

<오늘의 생물 소개>

대나무 Phyllostachys bambusoides

 

우리가 나무로 알고 있는

대나무, 정말 나무일까?

대나무는 벼과의

대나무아과에 속한다.

우리가 알고 있듯 벼는 

초본식물(풀)에 해당한다.

마찬가지로 대나무는 나무가

아니라 단지 키가 큰 풀이다.

 

풀과 나무의 차이점 

 🌿[ 풀 ]

생장 기간: 한해살이

나이테 유무: 나이테가 없음

부피 생장: 부피가 생장을 하지 않음

                  (줄기가 굵어지지 않음)

 

 🌳 [ 나무 ]

생장 기간: 한해살이

나이테 유무:  나이테가 있음

부피 생장: 부피는 생장을 함

                  (줄기가 굵어짐)

 

풀과 나무의 대표적인 차이점은

생장 기간, 신편 나이테,  부피 생장

여부로 판단할 수 있다.

 

대나무는 씨앗에 심고 약 4~5년이

지나야 싹이 올라오다가 5년 차가 넘어가는

순간부터는 하루에 1m씩 자란다.

대나무의 1시간 성장 속도는

소나무의 30년 성장 속도와 같다고 한다.

5년 동안 묵묵히 땅속 깊은 곳까지 단단한

뿌리를 내리다가 모든 준비가 된 후 폭풍

성장을 하는 대나무의 모습처럼

우리도 놀라운 성장을 이루기 위해

단단한 뿌리를 내리고 있는 중은 아닐까.

 

3 표는 상어, 고래, 사람의 사는 곳과 

호흡 방법을 비교한 것이다.(p.192)

 

 🦈 [ 상어 ]

사는 곳: 물에서 산다.

호흡 방법: 아가미로 호흡한다.

 

  🐳 [ 고래 ]

사는 곳: 물에서 산다.

호흡 방법: 폐로 호흡한다.

 

  🚹 [ 사람 ]

사는 곳: 육지에서 산다.

호흡 방법: 폐로 호흡한다.

 

6 표는 호랑이, 사람, 고양이의 

분류 단계를 나타낸 것이다.(p.193)

 

 🐯 [ 호랑이 ]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포유강 

목: 식육목 

과: 고양잇과 

속: 표범속

종: 호랑이

 

 🚹  [ 사람 ]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포유강 

목: 영장목

과: 사람과

속: 사람속

종: 사람

 

 😽 [ 고양이 ]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포유강 

목: 식육목 

과: 고양잇과 

속: 고양이속 

종: 고양이

 

 

느낀점: 대나무는 나무가 아니라 단지

키가 큰 풀 이라는 것을 새로 알게되었고,

풀과 나무의 차이점도 새로 알게되었습니다. 

상어와 고래와 사람의 사는 곳과

호흡 방법을  알아볼 수 있었습니다.  

호랑이와 사람과 고양이의

분류 단계를 비교해 보았습니다.

이때까지 배운 내용들을 

대단원 마무리에서

문제로 풀어보며

한번 더  배운 내용들을

복습할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선생님의 강의가 이해가 잘 되고 

머리쏙에 잘 들어와서 공부가 더 

잘 되고, 쉽게 느껴지는 것 같아요!!!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5 차*빈 2024.11.22
아빠곰 용쌤과 함께하는 생명과학 6강

6강 생물 다양성의 중요성과 보전

 

<오늘의 옹알이>

보전: 온전하게 보호하여 유지하는 것 

외래종: 원래 살던 곳과 다른 환경인 

새로운 서식지로 유입된 생물

남획: 주로 사냥, 어업 등에서 자원량의

변동에 영향을 미칠 정도로 너무 많이 잡는 것 

비오톱: 야생생물이 서식하고 이동하는데 

도움이 되는 숲, 가로수, 습지, 하천, 화단 등

도심에 존재하는 다양한 인공물이나 자연물로 

지역 생태계 향상에 기여하는 작은 생물서식공간 

협약: 국가와 국가 사이 문서를 교

          환하여 계약을 맺는 것 

 

<오늘의 생물 소개>

올빼미 Strix aluco

동물계-척삭동물문-조강-올빼미목-올빼미과

 

환경부가 올해 5월 '이달의

멸종위기 야생생물'로 성장했다.

우리나라에서 야행성 조류라는 점과

음산한 울음소리 때문에 불길한 징조로

여겨왔지만, 서양에서는 지혜를 상징하는

새로 여겨지며 고대 로마 예술품에서 지혜의 여신

아테나와 함께 등장한다. 야행성 중형 맹금류인

올빼미는 설치류, 소형 조류, 양서류, 파충류, 권충류

등을 잡아먹으며, 뛰어난 청력과 날개깃

가장자리의 흠을 이용하여 소리 없이

비행할 수 있는 신체 특성을

활용하여 주로 야간에 사냥한다.

 

<기어가서 개념 배우기>

생물 다양성의 필요성과 중요성

 

01 인간에게 필요한 자원 제공: 

인간은 식량, 목재, 의약품 등 생존에

필요한 자원을 생물로부터 얻어 왔다.

 

02 생태계 유지: 생물종이 다양하여

먹이 사슬이 복잡한 생태계는 일부 생물 수가

변해도 크게 영향을 받지 않고 잘 유지될 수 있다.

 

03 지구 환경의 유지 및 보전:

스스로 정화하는 능력이 있어 울창한 숲은

대기의 이산화 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공급하며,

작은 생물들은 죽은 동식물을 분해하여

토양을 비옥하게 하고 물질을 순환시킨다.

 

04 생체 모방 기술의 원천:

생물의 생김새, 생활 모습으로부터

아이디어를 얻어 유용한 도구 및

기술을 개발할 수 있다.

 

05 생명 존중의 윤리적 가치:

인간뿐만 아니라 동식물을 포함한

모든 생물을 그 자체로 존중받아야 한다.

 

<생물 다양성의 위기>

01 서식지 감소: 인구 증가에 따른 도시화와

무분별한 개발로 생물의 서식지가 파괴된다.

예) 낙동강을 방문한 겨울 철새 큰고니

 

02 외래종 유입: 새롭게 유입된 동식물은

천적이 없으므로 토종 생물의 생존을 위협한다.

예) 포획한 큰입배스

 

03 남획: 과도한 사냥과 밀렵은

생태계를 파괴하고 생물 개체 수와

생물 다양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예) 샥스핀 요리에 지느러미가 사용되는 귀상어

 

<생물 다양성 보전 방안>

01 사회적 차원: 비오톱, 생태 통로 설치,

캠페인, 시민 및 환경단체 활동 등

 

02 국가적 차원: 국립 공원 지정, 

멸종 위기종 관리, 환경 영향 평가 시행

 

03 국제적 차원: ' 생물 다양성 협약(CBD)' , 

'야생 동식물의 국제 거래에 관한 협약(CITES)' ,

이동성 야생 종물 종의 보전에 관한 협약(CMS)' ,

습지 보호에 관한 협약(람사르 협약) 등

 

느낀점: "개념 뒤집어서 살펴보기"에서 뉴스를

읽고 자신의 생각을 써볼 수 있었고,

해양 로드킬에 의해 발생하는 문제점을

찾아 문제를 풀어보았고, 해양 로드킬을

줄일 수 있는 방안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 지

알어보며 공부를할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생물 다양성의 필요성과 중요성이 무엇인지

잘 몰랐었는데 이 강의를 듣고 필요성과

중요성이 무엇인지 알게되었습니다.

상어와 가오리,멸종 위기! 남획의

원인이 무엇인지 알게되었습니다.

다양한 문제들을 풀어보며 배웠던

내용을 더 자세히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좋은 강의 고맙습니다. 💜